본문 바로가기
자격증가이드

2025년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by beresford 2025. 3. 28.

소방설비기사(전기) 자격증은 소방시설 분야 취업은 물론, 공기업·공무원 가산점, 승진 요건 등 다양한 혜택으로 매년 많은 수험생들이 도전하고 있는 인기 자격증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그리고 기출문제를 통한 수험전략까지 정리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소방설비기사 전기 시험일정

2025년에는 총 3회의 정기 시험이 시행됩니다. 


구분
필기
실기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 합격
(예정자)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정기  1회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추가접수: 2025.02.01 ~ 2025.02.02
2025.02.07 ~ 2025.03.04 2025.03.12 2025.03.24 ~ 2025.03.27
빈자리추가접수: 2025.04.13 ~ 2025.04.14
2025.04.19 ~ 2025.05.09 2025.06.13
정기  2회 2025.04.14 ~ 2025.04.17
빈자리추가접수: 2025.05.04 ~ 2025.05.05
2025.05.10 ~ 2025.05.30 2025.06.11 2025.06.23 ~ 2025.06.26 2025.07.19 ~ 2025.08.06 2025.09.12
정기  3회 2025.07.21 ~ 2025.07.24 2025.08.09 ~ 2025.09.01 2025.09.10 2025.09.22 ~ 2025.09.25 2025.11.01 ~ 2025.11.21 2025.12.24

※별첨: 기사시험일정표

시험 과목 및 합격 기준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과목 방식 시간
필기 소방원론, 소방전기일반,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객관식 4지선다,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실기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 필답형 주관식 3시간

합격 기준

필기: 과목별 40점 이상 + 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원서접수 및 수수료

1) 원서접수

  • 원서 접수는 큐넷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접수합니다.

2) 시험 수수료

  • 필기시험 수수료: 19,400원
  • 실기시험 수수료: 22,600원

 2025년도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사업으로 34세이하의 응시자에게는 1인당 연간 3회 이내에서 응시료 50% 지원혜택이 있으니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합격률 분석

최근 5년간 데이터를 보면 필기는 평균 45~54%, 실기는 35~47%의 합격률을 보입니다.

연도 필기 합격률 실기 합격률
2024 46.5% 41.3%
2023 49.4% 41.6%
2022 44.9% 42.4%
2021 46.1% 34.6%
2020 53.8% 46.7%

기출문제 분석 및 수험준비

1. 소방원론

소방원론은 소방학 전반의 기초를 다루므로, 핵심 용어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출문제를 통해 자주 출제되는 유형을 파악하고, 관련된 이론을 심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1) 주요 개념 이해: 연소의 기본 조건 및 종류, 소화 원리 및 방법, 화재의 분류 및 특성, 폭발의 종류 및 방지 대책 등 소방학의 기초 이론을 확고히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연소 범위, 인화점, 발화점 등 화재 위험성 관련 지표와 이산화탄소, 할론 등 주요 소화약제의 특성에 대한 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화재 현상 및 피난 특성: 플래시 오버, 백드래프트, 블레비 등 건물 화재 시 발생하는 특수 현상과 인간의 피난 심리 및 행동 특성에 대한 이해도 중요합니다. 감광 계수와 가시거리의 관계를 묻는 문제도 출제되었습니다.

3) 자연발화 및 소화 방법: 자연발화의 조건과 방지 대책, 화재의 종류별 적합한 소화 방법(냉각, 질식, 제거, 억제)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출제됩니다.

4) 위험물 안전관리: 위험물의 종류별 성질, 지정수량, 저장 및 취급 방법 등 위험물안전관리법규와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도 학습해야 합니다.

2. 소방전기일반

소방전기일반은 이론적인 이해와 함께 문제 풀이 연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출문제를 통해 자주 등장하는 회로 유형과 문제 해결 방법을 익히고, 관련 공식을 암기하여 실제 시험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합니다.

1) 기본 회로 이론: 직류 및 교류 회로 해석(옴의 법칙, 키르히호프 법칙, RLC 회로), 임피던스, 리액턴스, 공진, 전력(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등 기본적인 전기 회로 이론은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합니다. 3상 교류 회로의 결선 방식(Y-△), 선간 전압과 상전압/전류 관계, 전력 계산 관련 문제가 빈번하게 출제됩니다.

2) 반도체 소자 및 회로: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SCR, TRIAC 등 주요 반도체 소자의 특성과 정류 회로, 논리 회로(AND, OR, NOT, NAND, NOR, XOR)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논리 게이트 등가 회로 변환 및 부울 대수 간소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3) 제어 공학 기초: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 시스템, 전달 함수, 블록선도 해석, PID 제어 등 기본적인 제어 공학 개념을 학습해야 합니다. 블록선도 간략화 및 전달 함수 계산 문제가 출제됩니다.

4) 전기 계측: 전압계, 전류계, 저항계(메거 포함)의 원리 및 사용법, 측정 범위 확장(배율기, 분류기)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3. 소방관계법규

소방관계법규는 정확한 법 조문 암기가 중요합니다. 기출문제를 통해 자주 출제되는 법 조항을 확인하고, 법 조문의 내용과 벌칙 규정을 꼼꼼하게 학습해야 합니다. 또한, 각 법규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1) 소방기본법: 소방의 목적, 소방대상물, 관계인, 소방대, 소방본부 및 소방서의 설치, 소방활동, 화재조사, 소방용수시설, 소방신호, 소방업무의 응원, 벌칙 등 소방 활동의 기본이 되는 법규를 학습해야 합니다.

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의 종류 및 설치 기준, 소방안전관리, 자체점검, 소방시설업, 벌칙 등 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중요한 법규입니다. 특히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대상 및 업무, 소방시설 자체점검 대상 및 방법, 특정소방대상물별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 종류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3) 소방시설공사업법: 소방시설업의 종류 및 등록 기준, 소방공사 감리, 하자 보수, 벌칙 등에 관한 법규를 학습해야 합니다. 소방시설업 등록 기준 및 결격 사유, 감리 대상 관련 문제가 출제됩니다.

4)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의 분류 및 성질, 지정수량, 저장·취급 기준, 운반 기준, 제조소 등의 설치 기준 및 안전 관리자 선임, 벌칙 등에 관한 법규를 학습해야 합니다. 위험물의 종류별 지정수량, 저장·취급 기준,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 관련 문제가 빈번하게 출제됩니다.

5) 건축법: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 방화 구획 등 소방과 관련된 건축 법규의 기본 내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4.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는 각 소방 전기 설비의 구성, 작동 원리, 관련 화재안전기준을 정확히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출문제를 통해 각 설비별로 자주 묻는 설치 기준, 성능 기준 등을 파악하고, 도면이나 그림을 통해 설비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화재안전기준의 조항들을 꼼꼼히 확인하고, 헷갈리는 내용을 정리하여 암기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 감지기(종류별 설치 기준 포함), 수신기, 발신기, 중계기, 시각경보장치 등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 요소, 작동 원리, 설치 기준,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상세히 학습해야 합니다. 감지기의 종류별 부착 높이 및 설치 면적 기준, 수신기의 설치 기준, 배선 기준 등이 빈출 됩니다.

2) 소화 설비 전기 배선: 옥내소화전 설비, 스프링클러 설비, 물분무 등 소화 설비, 자동소화장치 등의 전원 회로 배선, 감시 제어반, 기동 장치 등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학습해야 합니다.

3) 경보 설비: 비상경보설비(비상벨, 자동식 사이렌), 단독경보형 감지기, 비상방송설비, 누전경보기 등의 구성 요소, 작동 원리, 설치 기준, 화재안전기준(NFSC 201, 202, 205)을 상세히 학습해야 합니다. 비상벨 설비의 설치 기준, 비상방송 설비의 음향 장치 기준, 누전경보기의 설치 및 성능 기준 등이 중요합니다.

4) 피난 설비 전기: 유도등 및 유도표지, 비상조명등의 설치 기준, 구조, 비상 전원 등에 대한 화재안전기준(NFSC 303, 304)을 학습해야 합니다. 유도등의 종류별 설치 위치 및 조도 기준, 비상조명등의 설치 기준 및 예비 전원 기준 등이 출제됩니다.

5) 소방시설용 비상전원 수전 설비: 비상전원 종류, 설치 기준, 배선 방법 등에 대한 화재안전기준(NFSC 602)을 학습해야 합니다.

6) 무선통신보조설비: 누설 동축 케이블, 안테나, 증폭기, 분배기 등 구성 요소 및 설치 기준에 대한 화재안전기준(NFSC 505)을 학습해야 합니다.

합격을 위한 수험 전략

자주 출제되는 핵심 개념과 법규는 표로 정리해 반복 암기하고, 전자문제집 CBT를 활용해 최근 5개년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오답 분석 학습을 진행한다.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에 유형별로 정리하고 원인을 기록해 약점을 보완하는 반복 복습 전략이 효과적이다.

1) 과목별 핵심 개념 정리: 자주 출제되는 개념만 추려 정리, 공식·수치·법규 용어 등은 표로 요약

2) 기출문제 반복 학습 : 전자문제집 CBT에서 최근 5개년 문제 풀이 + 오답 분석 중심 학습

3) 오답노트 정리 습관화 : 틀린 문제는 유형별로 분류해 복습, 오답 원인을 기록

4) 법규는 ‘암기 과목’으로 접근 : 숫자, 과태료, 기준 등 반복 암기 + 개정사항 수시 확인

마무리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는 이론과 실무를 모두 요구하는 만큼 균형 잡힌 학습 전략이 중요합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합격은 꾸준한 반복 학습과 철저한 개념 정리가 핵심입니다. 도전하는데 이글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