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은 IT 분야의 기초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검증하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취업 및 경력 개발에 유리한 자격입니다. 시험은 전자계산기 일반,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보통신 등에서 자주 출제되는 핵심 개념 중심으로 출제됩니다. 효과적인 준비를 위해서는 기출문제 분석과 함께 이론 정리 및 실습 병행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분석 기출문제 분석을 통한 시험준비 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일정
구분 | 필기 | 실기 | ||||
원서접수 | 시험 | 합격 (예정자)발표 | 원서접수 (휴일제외) | 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기능사 1회 |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2025.01.15 ~ 2025.01.16] |
2025.01.21 ~ 2025.01.25 | 2025.02.06 | 2025.02.10 ~ 2025.02.13 빈자리접수: 2025.03.09 ~ 2025.03.10 |
2025.03.15 ~ 2025.04.02 | 2025.04.18 |
기능사 2회 | 2025.03.17 ~ 2025.03.21 [빈자리접수 : 2025.03.30 ~ 2025.03.31] |
2025.04.05 ~ 2025.04.10 | 2025.04.16 | 2025.04.21 ~ 2025.04.24 | 2025.05.31 ~ 2025.06.15 | 2025.07.04 |
2025년 정기 기능사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 일반인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 불가 |
2025.05.19 ~ 2025.05.22 |
2025.06.14 ~ 2025.06.24 |
2025.07.25 | ||
기능사 3회 | 2025.06.09 ~ 2025.06.12 | 2025.06.28 ~ 2025.07.03 | 2025.07.16 | 2025.07.28 ~ 2025.07.31 | 2025.08.30 ~ 2025.09.17 | 2025.09.30 |
기능사 4회 | 2025.08.25 ~ 2025.08.28 | 2025.09.20 ~ 2025.09.25 | 2025.10.15 | 2025.10.20 ~ 2025.10.23 | 2025.11.22 ~ 2025.12.10 | 2025.12.24 |
응시자격
응시자격 제한이 없기 때문에 학력이나 전공, 경력, 나이에 관계없이 응시가 가능합니다.
시험과목 및 합격기준
시험과목
구분 | 필기 | 실기 |
시험 과목 | 1. 전자계산기일반 2. 패키지활용 3. PC운영체제 4. 정보통신일반 | 정보처리실무 ( 소프트웨어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SQL 활용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문제가 출제 ) |
검정 방법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1시간) | 필답형(1시간30분) |
※ 실기시험은 필기시험에 합격한 사람만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합격기준과 비용
필기시험은 60문항이 출제됩니다. 시험 시간은 1시간이며,100점만점에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하며, 실기는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입니다.
비용 | 자격 서류 |
필기: 14,500(원) 실기 : 17,200(원) |
응시자격 서류는 실기시험 원서 접수 전까지 제출해야 하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시험수수료는 2025년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사업으로 34세 이하의 응시자에게는 1인당 연간 3회 이내에서 응시료 50%까지 지원하는 혜택이 있으니 해당하시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격률분석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필기의 경우, 60.1%에서 67.1% 사이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실기 합격률은 17.8%에서 39.3% 사이로 다른 기능사 시험보다 실기시험의 난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자수 | 합격자수 | 합격률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
2024 | 12,057 | 8,093 | 67.1% | 10,772 | 3,968 | 36.8% |
2023 | 11,197 | 7,028 | 62.8% | 10,971 | 2,932 | 26.7% |
2022 | 11,255 | 7,084 | 62.9% | 10,436 | 1,861 | 17.8% |
2021 | 12,574 | 7,848 | 62.4% | 11,264 | 4,429 | 39.3% |
2020 | 10,119 | 6,084 | 60.1% | 9,236 | 1,788 | 19.4% |
기출문제분석 및 시험준비 팁
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은 전자계산기 일반,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보 통신 일반 등 IT 이론 전반을 폭넓게 다루며, 각 과목의 핵심 개념과 자주 출제되는 주제를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PU 구조, 논리회로, 프로세스 관리, SQL 문법, OSI 7 계층 등 반복 출제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개념 정리와 실전 연습을 통해 시험 유형에 익숙해지고, 실무와 연결된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습니다.
전자계산기 일반
1) 출제 빈도수 높은 주제
- CPU 구조 및 동작CPU 구성 요소 (연산장치, 제어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레지스터 (PC, MBR, PSW, 누산기, 상태 레지스터), 명령어 처리 과정 (fetch cycle 등), 주소 지정 방식 (직접, 간접, 즉시, 상대, 인덱스), 인터럽트, 채널, DMA.
- 기억 장치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RAM/ROM 특징, 캐시 메모리, 가상 메모리, 스택.
- 논리 회로 및 부울 대수논리 게이트, 플립플롭, 부울 대수 간소화, 가산기, 코드 (2진수, 16진수 변환, 보수).
2) 시험준비
- 각 주소 지정 방식의 특징과 사용 예시를 숙지하고, 문제가 주어졌을 때 어떤 방식인지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기본 논리 게이트의 진리표와 논리식을 암기하고, 부울 대수를 활용하여 논리식을 간소화하는 연습이 필요하고, 관련된 회로 문제를 풀어보며 논리 회로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진수, 8진수, 10진수, 16진수 간의 변환 연습과 함께 1의 보수, 2의 보수 표현 방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 RAM과 ROM의 세부 종류별 특징 (SRAM, DRAM, Flash memory 등)을 암기하고, 캐시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의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 CPU의 각 구성 요소와 레지스터의 역할, 명령어 처리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고, 관련된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는게 도움이 됩니다.

운영체제(OS)
1) 빈도수 높은 주제
- 운영체제 개요: 역할 및 기능, 처리 방식 (일괄, 시분할, 실시간, 다중 프로그래밍)
-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상태, 스케줄링, 교착상태, 스레드
- 메모리 관리: 가상 메모리,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단편화
-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디렉터리 및 파일 관리
- DOS/UNIX 명령어
- Windows의 주요 기능
- 스풀링과 버퍼링
- 부팅
2) 시험준비
- 프로세스 상태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각 상태 변화의 원인을 이해하며, 다양한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동작 방식과 성능 지표를 이해해야 합니다. DOS 및 UNIX의 명령어를 숙지하고 실제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스풀링과 버퍼링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시스템 효율성 향상 방식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컴퓨터 부팅 과정의 주요 단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 Windows의 기능과 디스크 관리 유틸리티의 사용법을 알아두는게 도움이 됩니다.
- 가상 메모리의 필요성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FIFO, LRU, LFU 등)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내부 단편화와 외부 단편화의 개념을 정리하십시오.
-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프로세스, 메모리, 파일 관리 등)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각 관리 기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며 암기 바랍니다.

데이터베이스 (DBMS 및 SQL)
1) 빈도수 높은 주제
- DBMS 개요 및 3단계 스키마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본 용어 및 제약 조건
- SQL 문법: SELECT, DDL, DML, DCL
- 뷰 (View)
-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 설계
2) 시험준비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용어 및 제약 조건을 명확히 이해하십시오. DDL, DML, DCL 명령어의 기능을 숙지하고 SQL 구문을 작성하는 연습을 하십시오. 트랜잭션의 ACID 속성을 이해하고 설계 단계별 과정을 이해해야 합니다.
- 뷰의 개념과 사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 SQL 문법을 익히고 다양한 조건의 검색 연습이 필요합니다.
- DBMS의 필수 기능과 3단계 스키마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정보 통신 일반
1) 빈도수 높은 주제
- 전송 방식: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 변조 방식: ASK, FSK, PSK, QAM
- 다중화 방식: TDM, FDM, CDM
- 전송 매체: 꼬임쌍선, 동축, 광섬유
- OSI 7 계층 및 데이터 Encapsulation
- 에러 검출 및 정정: 패리티, 해밍, CRC
- 통신망 구성: 스타형, 링형, 버스형, 망형
- 통신 프로토콜 요소: 구문, 의미, 타이밍
- 모뎀과 코덱
- IP 주소
2) 준비 방안
- 전송 매체별 특징을 숙지하고, OSI 7 계층의 기능을 암기하십시오.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와 모뎀/코덱의 기능을 이해해야 합니다.
- IP 주소 체계와 클래스별 특징을 정리하세요.
- 에러 검출/정정 방식과 통신망 구성의 장단점을 파악하십시오.
- 전송 방식과 변조 방식, 다중화 방식을 비교 및 이해해야 합니다.

맺음말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IT 및 데이터 처리 분야에서 실무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증받아 취업과 경력 개발에 유리한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합격률을 고려할 때 체계적인 이론 학습과 실습 경험이 매우 중요하며,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시험 유형에 익숙해지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을 통해 IT 전문가로서의 첫걸음을 내딛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자격증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5) | 2025.03.28 |
---|---|
방수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기출문제 해설 실격처리기준 이해 (1) | 2025.03.28 |
2025년 미용사(피부)시험일정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수험전략 (8) | 2025.03.22 |
2025년 전기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분석 기출문제분석등 총정리 (12) | 2025.02.22 |
화물운송 자격시험 시험일정 응시자격 신청절차 시험과목 시험장 자격증교부 총정리 (13) | 2025.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