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사 자격증은 안정적인 취업과 기술 자격을 갖추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준비하는 실용적인 자격증입니다.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 제조,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용접 기술자로 취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민이나 해외 진출의 기회도 넓어져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용접기능사 시험 일정, 시험 과목, 합격률, 실기시험 요령, 그리고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시험 대비 방법을 제시하여,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의 합격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용접기능사 시험개요
시험은 금속 재료를 용접하여 구조물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입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성되며, 필기는 용접 일반, 용접 재료 및 장비, 안전 관리 등의 이론을 다룹니다. 실기시험에서는 아크 용접 등의 실제 작업 수행 능력을 평가합니다.
2025년 용접기능사 시험일정
구분 | 필기 | 실기 | ||||
원서접수 | 시험 | 합격 (예정자)발표 | 원서접수 (휴일제외) | 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기능사 1회 |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2025.01.15 ~ 2025.01.16] |
2025.01.21 ~ 2025.01.25 | 2025.02.06 | 2025.02.10 ~ 2025.02.13 빈자리접수: 2025.03.09 ~ 2025.03.10 |
2025.03.15 ~ 2025.04.02 | 2025.04.11 |
기능사 2회 | 2025.03.17 ~ 2025.03.21 [빈자리접수 : 2025.03.30 ~ 2025.03.31] |
2025.04.05 ~ 2025.04.10 | 2025.04.16 | 2025.04.21 ~ 2025.04.24 | 2025.05.31 ~ 2025.06.15 | 2025.06.27 |
정기 기능사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 일반인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 불가 |
2025.05.19 ~ 2025.05.22 |
2025.06.14 ~ 2025.06.24 |
2025.07.18 | ||
기능사 3회 | 2025.06.09 ~ 2025.06.12 | 2025.06.28 ~ 2025.07.03 | 2025.07.16 | 2025.07.28 ~ 2025.07.31 | 2025.08.30 ~ 2025.09.17 | 2025.09.26 |
기능사 4회 | 2025.08.25 ~ 2025.08.28 | 2025.09.20 ~ 2025.09.25 | 2025.10.15 | 2025.10.20 ~ 2025.10.23 | 2025.11.22 ~ 2025.12.10 | 2025.12.19 |
시험과목 및 합격기준
시험과목 및 검증방법
구분 | 과목 | 방식 | 시간 |
필기 | 1. 아크용접 2. 용접안전 3. 용접재료 4. 도면해독 5. 가스절단 6. 기타용접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 60분 |
실기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 실무 피복아크용접 실무 가스텅스텐아크용접 실무 |
작업형 | 2시간정도 |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원서접수 및 수수료
1) 원서접수
- 원서 접수는 큐넷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접수합니다.
2) 시험수수료
구분 | 수수료 |
필기 | 14,500원 |
실기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 80,800원 피복아크용접: 40,000원 가스텅스텐아크용접 실무: 81,400원 |
※ 시험수수료는 2025년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사업으로 34세 이하의 응시자에게는 1인당 연간 3회 이내에서 응시료 50%까지 지원하는 혜택이 있으니 해당하시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격률 분석
피복아크의 경우, 2020년 이후 평균 합격률은 필기 약 29~33 % 이고, 실기 약 45.2~52.4%입니다. 이는 실기 준비에 집중하되 필기 합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만큼 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년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11,593 | 3,364 | 29% | 4,942 | 2,237 | 45.3% |
2023 | 11,787 | 3,569 | 30.3% | 5,082 | 2,299 | 45.2% |
2022 | 12,615 | 3,727 | 29.5% | 5,804 | 2,743 | 47.3% |
2021 | 14,356 | 4,420 | 30.8% | 6,696 | 3,508 | 52.4% |
2020 | 12,769 | 4,256 | 33.3% | 6,666 | 3,255 | 48.8% |
기출문제 분석 및 시험준비
용접일반
각 용접 방법의 원리와 특징, 용접 결함의 종류/원인/보수 방법, 안전 수칙 및 비파괴 시험의 개념을 이해하고 암기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기출문제를 반복 풀이하며 오답노트를 활용해 자주 출제되는 유형을 익히고 취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TIG, MIG):
- 특징, 장단점, 적용 분야
- 관련 용어: 크레이터 처리, 번 백(Burn Back) 등
- 직류 정극성(DCSP) / 직류 역극성(DCRP) 비교
- TIG 용접 텅스텐 전극봉 식별 색상 및 종류 (매우 중요, 반복 출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SAW):
- 특징, 장단점, 적용 분야
- 다전극 방식
- 불가시(보이지 않는 아크) 용접 특징 및 용제(Flux) 사용 이해
이산화탄소 (CO2) 아크 용접:
- 특징, CO2 가스의 역할 (보호, 아크 안정 등)
- 기공 발생 원인 및 방지 대책
- 와이어 돌출 길이(Stick Out)의 영향
피복 아크 용접 (SMAW):
- 특징, 용접봉 종류 (저수소계 등 특징)
- 아크 극성 (AC, DCSP, DCRP)
- 작업 시 유의사항 (슬래그 제거, 아크 길이 유지 등)
- 전격 방지 대책 (꾸준히 출제)
가스 용접 (산소-아세틸렌 등):
- 특징, 장단점
- 불꽃 종류 (탄화, 중성, 산화 불꽃) 및 용도
- 후진법 / 전진법 비교
- 역화 및 인화 현상 원인 및 대책 (필수 이해)
용접 결함:
- 종류: 균열, 언더컷, 오버랩, 용입 부족, 기공, 슬래그 섞임 등
- 발생 원인 및 보수 방법
- 균열 발생 시 정지 구멍(Stop hole) 처리 중요성
비파괴 시험 (NDT):
- 종류: 초음파 탐상(UT), 방사선 투과(RT), 침투 탐상(PT), 자기 탐상(MT) 등
- 각 시험의 원리 및 특징 (파괴 시험과의 비교)
용접 변형 및 잔류 응력:
- 발생 원인 및 방지 대책 (용접 순서 제어, 대칭 용접, 억제법, 역변형법 등)
- 교정 방법 (점 수축법, 선상 가열법 등)
용접 안전:
- 보호 장비 착용 (보안면, 보호복, 장갑 등)
- 유해 가스 및 흄(Fume) 환기 대책
- 전격 방지 대책
특수 용접:
- 스터드 용접, 테르밋 용접, 전자 빔 용접,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등
- 각 용접법의 기본 원리 및 특징 파악
가스 절단:
- 종류: 산소 절단, 탄소 아크 절단, 금속 아크 절단, 플라스마 제트 절단, 수중 절단 등
- 특징 및 비교
- 스카핑(Scarfing), 가스 가우징(Gas Gouging), 아크 에어 가우징(Arc Air Gouging) 차이점 이해
용접재료
주요 금속 재료의 성질과 용접성을 이해하고 피복제의 역할과 종류를 파악하여 각 용접법에 적합한 재료를 연결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합금강의 종류, 특징, KS 재료 기호를 집중적으로 정리하고 암기해야 합니다.
탄소강:
- 표준 조직: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
- 탄소 함량 변화에 따른 기계적 성질 변화 (강도, 경도, 연신율 등)
- 열처리 종류 및 목적: 노말라이징(불림), 어닐링(풀림), 템퍼링(뜨임), 퀜칭(담금질)
- KS 재료 기호 (예: SS400, SM490 등) 의미 파악 (필수)
합금강:
- 주요 합금 원소(Ni, Cr, Mo, V, Si 등)가 강에 미치는 영향
- 스테인리스강 종류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및 특징
- 특수 합금: 불변강(인바 등), 내열강, 공구강, 형상기억합금 등
비철금속:
- 알루미늄(Al) 및 그 합금 특징, 용접 시 주의사항 (산화피막 제거)
- 마그네슘(Mg) 및 그 합금 특징, 용접 시 주의사항 (높은 발화성)
- 구리(Cu) 및 그 합금 (황동, 청동) 특징, 용접 시 주의사항 (높은 열전도율)
- 알루미늄 가스 용접 시 용제(Flux)의 역할 및 필요성
용접봉 (피복 아크 용접봉):
- 피복제의 역할: 아크 안정, 가스 발생(용융 금속 보호), 슬래그 형성(냉각 속도 조절, 표면 보호), 탈산 및 합금 원소 첨가 등
- 피복제 계통별 종류 및 특징: 고산화티탄계, 라임티타니아계, 저수소계, 철분계 등
- 용융 속도 및 용착 효율 관련 개념
용제 (Flux):
- 납땜 및 용접 시 용제의 역할: 산화물 제거, 표면 장력 감소, 재산화 방지
- 용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용제의 종류 (용융형, 소결형, 본드형) 및 특징
납땜 (Soldering) 및 경납땜 (Brazing):
- 연납땜(납땜)과 경납땜의 차이점 (융점 기준 450℃)
- 각각의 특징, 사용되는 용가재(땜납), 용제 및 주요 적용 분야
기계제도
도면 해독의 기본인 선의 종류와 용도, 투상 원리, 용접 기호를 정확히 이해하고 실제 도면 해독 연습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치수 기입, 단면도, 나사 표시 등 기계 제도의 세부 규칙과 용어도 명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선의 종류와 용도:
- 굵은 실선 (외형선), 가는 실선 (치수선, 지시선, 해칭선 등)
- 파선 (숨은선), 1점 쇄선 (중심선, 기준선), 2점 쇄선 (가상선) 등
- 각 선의 모양, 굵기, 명칭 및 사용되는 용도를 정확히 구분 (필수)
투상도:
-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의 상호 관계
- 제1각법과 제3각법의 배치 원리 및 차이점 (매우 중요)
- 주어진 입체도를 보고 올바른 투상도(주로 제3각법)를 선택하는 문제 연습
단면도:
- 단면도의 종류: 온단면도, 반단면도, 부분 단면도, 회전 도시 단면도 등
- 해칭(Hatching) 방법 및 규칙 (같은 부품은 같은 방향/간격)
- 단면하지 않는 부품 (축, 핀, 리브, 볼트/너트 등)
- 대칭 도시 기호의 사용법
치수 기입:
- 치수 기입의 3요소 (치수선, 치수 보조선, 치수 숫자)
- 치수 기입 원칙 및 방법 (중복 기입 피하기, 관련 치수 모으기 등)
- 지름(Ø), 반지름(R), 구(SØ, SR), 판 두께(t) 등 기호 사용법
- 현의 길이, 호의 길이, 각도 치수 기입 방법
용접 기호:
- 기본 기호 (맞대기, 필릿, 점, 플러그 용접 등) 및 보조 기호 (화살표, 지시선, 꼬리 등)
- 용접부의 형상, 치수, 용접 방법 등을 나타내는 기호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해독하는 능력 (매우 중요)
- 다듬질 기호 포함
나사 표시:
- 미터 보통 나사(M), 미터 가는 나사, 관용 평행 나사(G), 관용 테이퍼 나사(R) 등
- 나사의 도시 방법 (수나사/암나사, 완전/불완전 나사부) 및 호칭 방법
배관 도시 방법:
- 배관 약호 및 기호
- 특히 환기 및 배수 계통의 끝 장치(기구) 도시 기호 확인
표제란:
- 도면명, 척도, 투상법, 품번, 품명, 재질, 수량 등 표제란에 기입되는 주요 내용
재료 기호:
- 기계 구조용 탄소강(SM), 스테인리스 강관(STS), 저온 배관용 탄소 강관(SPLT) 등
- 주요 재료의 KS 기호 식별
용접기능사 실기시험 요령
실기 시험은 단순히 용접 기술을 평가하는 시험이 아니라, 안전 의식, 도면 해독 능력, 재료 준비, 장비 사용 능력, 정확한 용접 자세 및 기법, 그리고 작업 정리정돈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피복아크용접 실기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도면 해독 능력 완벽하게 마스터하기
실기 시험 준비는 용접 도면과 용접절차사양서를 정확히 해석하는 능력에서 시작됩니다. 용접 기호, 이음 형상, 자세, 그루브 형태 등을 도면에서 파악하고, 작업지시서의 용접 조건과 요구 사항을 꼼꼼히 읽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2. 철저한 재료 준비 및 가스 절단 숙달
실기 시험에서는 모재, 용접봉, 치공구를 정확히 준비하고, 가스 절단 작업을 안전하고 능숙하게 수행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용접 도면과 절차사양서를 바탕으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고,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반복 연습이 필요합니다.
3. 안전 및 보건 관리 철저히 하기
용접 실기 작업은 철저한 안전 관리가 기본이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수칙과 보호구 착용, 작업장 정리 상태 점검이 필수입니다. 작업 전 장비와 주변 환경을 꼼꼼히 확인하고, MSDS 자료를 바탕으로 유해 물질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해야 합니다.
4. 용접 장비 및 설비 완벽 이해 및 점검
피복아크용접 실기에서는 용접 장비와 설비를 정확히 설치·점검하고, 작업 환경에 맞게 환기 장치를 적절히 운용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특히 아크 발생 여부, 전격 방지기 작동, 환기 설비 상태 등을 사전에 꼼꼼히 점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5. 가용접 작업 정확하게 수행하기
본 용접 전 가용접 작업은 구조물의 정확한 조립과 변형 방지를 위한 핵심 단계로, 도면에 따라 정밀하게 수행되어야 합니다. 모재 치수와 이음 형상을 정확히 확인하고, 적절한 가용접 위치와 길이를 설정해 안정적인 본 용접이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6. 비드 쌓기 및 자세별 용접 숙달
용접 실기에서는 용접절차사양서에 따라 조건을 정확히 설정하고, 직선 비드 및 위빙 용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자세에서의 맞대기 용접과 필릿 용접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용접 전후 처리를 철저히 하는 실전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7. 용접부 검사 및 결함 보수 이해
용접 후에는 용접 전·중·후 검사를 통해 결함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보수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외관 검사와 더불어 비파괴 검사 방법을 숙지하고, 결함 방지 및 열영향부 관리에 대한 이해도 함께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작업 후 정리정돈 및 안전 점검 습관화
작업 후에는 전원을 순서대로 안전하게 차단하고, 작업장과 장비를 정리 정돈하여 청결하고 안전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화재 위험 요소나 장비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점검 내용을 일지로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수험전략
1) 계획적인 학습: 각 과목별로 학습 목표와 시간을 분배하고, 매일 꾸준히 학습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2) 핵심 개념 정리: 교재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과목별 핵심 개념을 자신만의 노트에 정리하고 암기합니다.
3) 기출문제 활용: 최근 시문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면서 문제 유형을 익히고 실전 감각을 키웁니다. 자주 틀리는 부분은 집중적으로 복습합니다.
4) 오답노트 활용: 틀린 문제는 반드시 오답노트에 기록하고, 왜 틀렸는지 원인을 분석하여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합니다.
5) 실전과 유사한 환경 조성: 실제 시험 시간과 동일하게 시간을 설정하고 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을 통해 시간 관리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맺음말
용접기능사 시험은 개념 이해와 반복 학습이 합격의 열쇠입니다. 각 과목의 핵심을 정리하고 기출문제를 꾸준히 풀어보며 실전 감각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문제 분석을 통한 학습요령을 익힌다면 준비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자격증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실기요령 (4) | 2025.04.02 |
---|---|
에너지관리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실기요령 (3) | 2025.04.02 |
한식조리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 분석 실기시험요령 (5) | 2025.03.29 |
2025년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5) | 2025.03.28 |
방수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기출문제 해설 실격처리기준 이해 (1)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