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는 건물, 공동주택(아파트) 보일러와 부대설비의 설치, 운전, 유지관리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전문 자격증입니다. 취업 경쟁력이 높은 자격증이어서 중장년층에서 특히 인기가 있는 자격증 중의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에너지관리기능사 시험 일정, 시험 과목, 합격률, 실기시험 요령, 그리고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시험 대비 방법을 제시하여,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의 합격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에너지관리기능사 시험개요
건물용 및 산업용 보일러와 부대설비의 운영을 위하여 기기의 설치, 배관, 용접 등의 작업과 보일러 연료와 열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관리, 운전, 정비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기능사시험은 보일러, 열원설비, 에너지 이용기술 등 열에너지 관리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입니다. 필기시험은 보일러 이론, 연소공학, 열역학, 에너지 이용 합리화 관련 법규 등을 다루며,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보일러 운전과 장비 조작 능력을 평가합니다.
2025년 에너지관리기능사 시험일정
구분 | 필기 | 실기 | ||||
원서접수 | 시험 | 합격 (예정자)발표 | 원서접수 (휴일제외) | 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기능사 1회 |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2025.01.15 ~ 2025.01.16] |
2025.01.21 ~ 2025.01.25 | 2025.02.06 | 2025.02.10 ~ 2025.02.13 빈자리접수: 2025.03.09 ~ 2025.03.10 |
2025.03.15 ~ 2025.04.02 | 2025.04.11 |
기능사 2회 | 2025.03.17 ~ 2025.03.21 [빈자리접수 : 2025.03.30 ~ 2025.03.31] |
2025.04.05 ~ 2025.04.10 | 2025.04.16 | 2025.04.21 ~ 2025.04.24 | 2025.05.31 ~ 2025.06.15 | 2025.06.27 |
정기 기능사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 일반인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 불가 |
2025.05.19 ~ 2025.05.22 |
2025.06.14 ~ 2025.06.24 |
2025.07.18 | ||
기능사 3회 | 2025.06.09 ~ 2025.06.12 | 2025.06.28 ~ 2025.07.03 | 2025.07.16 | 2025.07.28 ~ 2025.07.31 | 2025.08.30 ~ 2025.09.17 | 2025.09.26 |
기능사 4회 | 2025.08.25 ~ 2025.08.28 | 2025.09.20 ~ 2025.09.25 | 2025.10.15 | 2025.10.20 ~ 2025.10.23 | 2025.11.22 ~ 2025.12.10 | 2025.12.19 |
시험과목 및 합격기준

시험과목 및 검증방법
구분 | 과목 | 방식 | 시간 |
필기 | 열설비 설치, 운전 및 관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 60분 |
실기 | 열설비취급실무 | 작업형[적산+종합응용배관작업] | 3시간정도 |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원서접수 및 수수료
1) 원서접수
- 원서 접수는 큐넷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접수합니다.
2) 시험수수료
구분 | 수수료 |
필기 | 14,500원 |
실기 | 56,700원 |
※ 시험수수료는 2025년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사업으로 34세 이하의 응시자에게는 1인당 연간 3회 이내에서 응시료 50%까지 지원하는 혜택이 있으니 해당하시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격률 분석
2020년 이후 평균 합격률은 필기 약 43~50 % 이고, 실기 약 50~65%입니다. 전반적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이 필기시험의 합격률보다 높습니다. 이는 시험의 특성상 필기시험보다는 실질적인 작업 능력을 평가하는 실기 시험의 중요성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년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8,610 | 3,737 | 43.4% | 4,793 | 2,943 | 61.4% |
2023 | 8,506 | 3,680 | 43.3% | 4,690 | 2,819 | 60.1% |
2022 | 7,554 | 3,349 | 44.3% | 4,401 | 2,647 | 60.1% |
2021 | 8,854 | 4,220 | 47.7% | 5,531 | 3,590 | 64.9% |
2020 | 8,013 | 4,037 | 50.4% | 5,175 | 2,582 | 49.9% |
기출문제 분석 및 시험준비
필기시험은 보일러와 연소, 열역학, 자동제어, 법규 등 에너지 관리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각 영역에서는 안전 운전, 효율 향상, 법적 기준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역량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보일러 및 연소 관련
보일러의 구조, 작동 원리, 연소 방식 등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연료의 효율적인 사용과 안전한 운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다양한 보일러 종류와 부속 장치, 연소 제어 및 운전 관리 지식이 실무와 직결되므로 자주 출제됩니다.
1) 보일러 종류 및 특징
- 수관식 보일러: 고압, 대용량, 산업용에 적합
- 노통연관 보일러(연관식): 구조 단순, 소형 건물용
- 관류 보일러: 빠른 증기 발생, 예열 시간 짧음
- 주철제 보일러: 내식성 우수, 소형 건물에 적합
- 입형 보일러: 수직 구조, 설치 공간 절약
→ 각 보일러의 장단점과 사용처 구분 중요
2) 보일러 부속 장치
- 압력계: 설치 기준, 사이폰관 역할
- 수면계(수위계): 종류(유리관식 등), 수위 확인
- 안전밸브: 설치 위치·개수, 최고사용압력 기준
- 증기 과열기, 절탄기, 공기예열기: 폐열 회수 장치
- 기수 분리기, 증기 트랩, 분출 밸브: 수분 제거 및 슬러지 배출
3) 연소 이론 및 실제
- 연소 방식: 확산연소, 예혼합연소
- 공기비: 완전연소 유도, 불완전연소 방지
- 불완전연소 원인: 산소 부족, 연료 과다
- 역화: 화염 역류, 점화 불량 시 발생
- 통풍력 조절: 송풍기, 굴뚝 높이 조절
- 연료 종류: LPG, LNG, 유류, 고체연료 등 특성 파악
4) 보일러 운전 및 관리
- 운전 절차: 점화 순서, 정지 절차
- 수위 관리: 저수위 사고 예방
- 청관 및 수처리: 스케일, 슬러지 제거
- 사고 원인: 과압, 저수위, 부식
- 캐리오버: 포밍·프라이밍 현상과 영향
에너지 및 열역학 관련
열의 흐름과 증기 상태, 난방 방식 등 열역학 전반의 이해를 바탕으로 보일러 효율 및 단열 효과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난방 설비 구조, 보온재 특성 등도 함께 다뤄지는 영역입니다.
1) 열역학 기초
- 상태 변화: 등온, 정압, 정적, 단열
- 증기의 성질: 건도(수분함량), 과열도(포화 증기 이상)
2) 열 전달
- 전도, 대류, 복사: 열 이동의 3가지 방식
- 열관류: 벽체를 통한 열 손실
3) 난방 방식
- 증기난방: 직접/간접, 중력/진공 환수
- 온수난방: 중력/강제 순환, 단관식/복관식
- 배관 시공: 구배 설치, 하트포드 접속법, 팽창탱크 구성
4) 보온 및 단열
- 보온재 종류: 암면, 글라스울, 세라믹화이버 등
- 주의사항: 밀착 시공, 습기 차단
5) 에너지 효율
- 보일러 효율 계산: 입출열법, 열손실법
- 효율 향상 방법: 예열기 사용, 연소 조절, 스케일 방지
자동제어 및 안전장치 관련
보일러 운전에 필요한 자동제어 시스템 구성과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인터록 및 계측 장비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안전을 위한 장치들의 설치 기준과 작동 원리는 실제 사고 예방에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
1) 자동 제어
- 제어 구성 요소: 검출부 → 비교부 → 조절부 → 조작부
- 제어 방식: 단요소, 2요소, 3요소 제어
- 수위·연소 자동 제어 및 인터록 시스템 이해
2) 안전장치
- 안전밸브: 압력 초과 시 자동 방출
- 저수위 경보기: 수위 낮을 때 경보 발생
- 화염 검출기: 점화 실패 감지
- 기타 장치: 방폭문, 가용전, 자동 차단장치 등
3) 계측 및 감시
- 계기 종류: 압력계, 온도계, 수위계, 유량계 등
→ 정상 수치 확인과 이상 감지에 필수
법령 및 에너지 정책 관련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 저탄소 녹색성장법, 에너지법 등 법적 기준과 제도를 숙지해야 하며, 자격 보유자나 사업자에게 요구되는 기준과 의무를 이해해야 합니다. 시험에서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법령과 제도 중심으로 출제됩니다.
1)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 다소비 사업자 정의, 효율관리 기자재,
- 검사 대상 기기 기준, 에너지 진단 제도
- 대기전력 저감, 벌칙 및 과태료
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 녹색성장 국가전략, 온실가스 관리
- 녹색성장위원회 역할, 에너지 사용량 보고 의무
3) 에너지법
- 에너지 사용자 정의, 국가 에너지 정책
- 에너지 수급 안정과 효율적 사용 유도
실기시험 요령
실기시험은 배관 적산과 종합응용배관작업 두 과제로 구성되며, 수험자는 주어진 도면을 바탕으로 재료 산출 및 실제 배관 조립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시험은 정해진 시간 내에 작업 정확도, 안전 수칙 준수, 재료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도면 오차나 누수, 규정 위반 시 실격 처리됩니다.

실기시험 구성

1 과제) 배관 적산 (20점)
- 시험 내용: 제시된 배관 도면을 보고 재료목록표의 빈칸을 정확히 채우는 과제
- 주요 능력 평가: 도면 해석 능력, 배관 자재의 규격 및 수량 산정
- 진행 순서: 작성한 답안지를 감독위원에게 제출한 후 2 과제로 진행
- 주의사항:
- 도면 형태는 매 시험마다 달라짐
- 도면 해석과 실무 감각이 중요!
2 과제) 종합응용배관작업 (80점)
- 시험 내용: 주어진 도면에 따라 강관 및 동관을 절단, 가공, 조립하여 배관 시공
- 사용 도구: 수험자가 지참한 수동 공구만 사용
- 작업 후 평가: 수압 시험을 통해 누수 여부 확인
- 핵심: 정밀한 절단, 깔끔한 조립, 누수 없는 완성도
실격기준
아래 항목에 해당될 경우 실격 처리되며 채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실격 사유 | 설 명 |
시험 포기 | 시험 중 수험자가 중단 의사 밝힘 |
1과제 미제출 또는 0점 | 적산 답안지 미제출 시 |
작품 미제출 | 제한 시간 내 완성품 미제출 |
치수 초과 오차 | 부분 ±15mm, 전체 ±30mm 이상 |
누수 발생 | 수압시험 0.3MPa 이하에서 누수 |
평행도 불량 | 30mm 이상 차이 |
외관 불량 | 기능·외관이 현저히 불량한 경우 |
도면 불일치 | 설계 도면과 구조 다를 경우 |
재료 오사용 | 지급 재료 외 사용 시 |
밴딩 방식 위반 | 기계(MC) 밴딩 요구 시 열간밴딩 시도 |
맺음말
에너지관리기능사는 단순한 자격증을 넘어, 에너지 절약과 설비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 기술인으로 가는 첫걸음입니다. 필기시험은 이론적 이해를, 실기시험은 현장 적용 능력을 평가하므로 두 영역을 균형 있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에너지관리기능사 시험을 이해하고 합격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자격증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실기시험요령 (2) | 2025.04.03 |
---|---|
산림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실기요령 (4) | 2025.04.02 |
용접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실기시험요령 기출문제분석 (3) | 2025.03.30 |
한식조리기능사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 분석 실기시험요령 (5) | 2025.03.29 |
2025년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일정 시험과목 합격률 기출문제분석 (5)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