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디지털 콘텐츠 수요가 급증하면서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된 IT 자격증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컴퓨터그래픽기능사는 실무와 취업 모두에 유리한 자격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컴퓨터그래픽기능사 시험일정, 합격률, 필기시험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필기 정리 및 실기시험 대비요령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컴퓨터그래픽기능사 시험개요
2025년부터 자격 종목명이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에서 '컴퓨터그래픽기능사'로 변경되면서 시험 명칭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컴퓨터그래픽기능사는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그래픽 편집, 디자인, 출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주로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등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무 중심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뉘며, 필기는 컴퓨터그래픽 일반, 색채학, 디자인 일반, 출력 및 편집 지식 등을 다룹니다. 실기시험은 주어진 과제를 정해진 시간 내에 디자인 툴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2025년 컴퓨터그래픽기능사 시험일정
구분 | 필기 | 실기 | ||||
원서접수 | 시험 | 합격 (예정자)발표 | 원서접수 (휴일제외) | 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기능사 1회 |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2025.01.15 ~ 2025.01.16] |
2025.01.21 ~ 2025.01.25 | 2025.02.06 | 2025.02.10 ~ 2025.02.13 빈자리접수: 2025.03.09 ~ 2025.03.10 |
2025.03.15 ~ 2025.04.02 | 2025.04.18 |
기능사 2회 | 2025.03.17 ~ 2025.03.21 [빈자리접수 : 2025.03.30 ~ 2025.03.31] |
2025.04.05 ~ 2025.04.10 | 2025.04.16 | 2025.04.21 ~ 2025.04.24 | 2025.05.31 ~ 2025.06.15 | 2025.07.04 |
정기 기능사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 일반인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 불가 |
2025.05.19 ~ 2025.05.22 |
2025.06.14 ~ 2025.06.24 |
2025.07.25 | ||
기능사 3회 | 2025.06.09 ~ 2025.06.12 | 2025.06.28 ~ 2025.07.03 | 2025.07.16 | 2025.07.28 ~ 2025.07.31 | 2025.08.30 ~ 2025.09.17 | 2025.09.30 |
기능사 4회 | 2025.08.25 ~ 2025.08.28 | 2025.09.20 ~ 2025.09.25 | 2025.10.15 | 2025.10.20 ~ 2025.10.23 | 2025.11.22 ~ 2025.12.10 | 2025.12.24 |
시험과목 및 합격기준
시험과목 및 검증방법
구분 | 과목 | 방식 | 시간 |
필기 | 시각디자인일반, 컴퓨터그래픽스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 60분 |
실기 | 컴퓨터그래픽실무작업 | 작업형 | 3시간30분 |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원서접수 및 수수료
1) 원서접수
- 원서 접수는 큐넷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접수합니다.
2) 시험수수료
구분 | 수수료 |
필기 | 14,500원 |
실기 | 23,700 |
※ 시험수수료는 2025년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사업으로 34세 이하의 응시자에게는 1인당 연간 3회 이내에서 응시료 50%까지 지원하는 혜택이 있으니 해당하시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격률 분석
2020년 이후 필기 평균 합격률은 필기 약 63.2~69.7 % 이고, 실기 약 73.8~81.4%입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자격시험에 비해서 합격률이 높은 편입니다. 실기 준비에 집중하되 필기 합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만큼 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년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10,488 | 6,633 | 63.2% | 8,299 | 6,758 | 81.4% |
2023 | 11,289 | 7,436 | 65.9% | 8,951 | 6,610 | 73.8% |
2022 | 11,548 | 7,471 | 64.7% | 9,152 | 7,116 | 77.8% |
2021 | 14,918 | 10,141 | 68% | 10,836 | 8,122 | 75% |
2020 | 11,952 | 8,330 | 69.7% | 9,163 | 7,106 | 77.6% |
기출문제 분석 및 시험준비
산업디자인 일반
디자인 프로세스 및 아이디어 발상
- 제품 디자인 개발 과정의 올바른 순서 (예: 계획 - 조사 - 분석 - 종합 - 평가)가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 아이디어 탐색/발상 방법으로 브레인스토밍, 시네틱스, 형태학적 차트 작성 등이 언급되며, 아이디어를 비판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시됩니다. 브레인스토밍의 기본 원칙도 포함됩니다.
- 아이디어 스케치는 자유로운 이미지 표현, 신속한 아이디어 전개, 이미지 포착을 위한 방법으로, 정확도와 정밀성이 높은 그림이 아니며, 최종 디자인 결정에 사용되지 않는 역할로 설명됩니다.
- 래피드 프로토타이핑(Rapid Prototyping)은 짧은 시간 내에 디자인 실제 모델을 다양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설명됩니다.
디자인 요소 및 원리
- 형태의 분류 (현실적, 이념적 형태 - 점, 선, 면, 입체, 자연 형태, 유기적 형태) 및 특성 (면은 선이 이동한 것)에 대한 내용이 포함됩니다.
- 선의 종류 (자유곡선형의 특성 - 유연성, 우아함, 운동감 등, 기하곡면) 및 선의 동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등이 다루어집니다.
- 질감은 물체 표면의 성질 (매끄럽다, 거칠다 등)이며, 명암효과나 대비, 거리감과 함께 표현되고, 촉각적/시각적 질감으로 나뉩니다.
- 게슈탈트 요인/법칙 (유사성, 폐쇄성, 근접성, 연속성) 및 형태 지각 심리가 자주 언급됩니다.
- 율동을 구성하는 형식 (반복, 방사, 점이)과 대칭은 율동 구성 형식이 아님이 다루어집니다.
- 균형과 관련된 원리 (비대칭, 주도와 종속, 비례)가 제시됩니다.
특정 디자인 분야
- 포장 디자인의 주요 기능 (보호성, 명시성, 환경성) 및 조건 (유통, 보관, 제품 보호, 성격 고려)에 대한 문제가 출제됩니다. 생산성은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 실내 디자인의 요소 (바닥, 벽, 천장)와 고려사항 (미적 효용성, 소품 선택 및 배치, 비용 절감, 동선)이 중요합니다. 벽의 기능 (공간 구분, 차단, 보온 등)과 실내 디자인의 목적 (기능적, 쾌적한, 합리적 공간 계획)도 다루어집니다.
- 편집 디자인의 주요 요소로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포토그래피가 언급되며, 스토리보드나 광고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레이아웃의 기본 조건으로 가독성, 주목성, 조형성이 제시됩니다.
- 제품 디자인 영역에 가구, 완구, 자동차 디자인은 포함되지만, 디스플레이 디자인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광고 및 마케팅
- 포스터 중 연극, 영화 등 고지적 기능의 포스터는 문화 행사 포스터에 해당합니다.
- 기업의 일관된 이미지를 부여하는 체계적인 이미지 전략은 CI(Corporate Identity)이며,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기본 시스템에 시그니처, 색상, 서체 등은 해당되지만, 광고나 패키지, 캐릭터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DM(Direct Mail) 광고 종류로 폴더, 리플릿, 카탈로그가 있으며, 포스터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비영리 광고가 아닌 것은 기업 광고입니다.
- 잡지 광고 종류에 스폿(SPOT) 광고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광고 제작물의 구성요소 중 주의 환기 및 본문 유도는 헤드라인이며, 광고 구성 요소에 헤드라인, 바디카피, 일러스트레이션 등이 포함되지만, 시그니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마케팅에 대한 설명 (경영 현상 확대, 교환 과정을 통한 욕구 충족), 목표 (소비자 만족 증진, 소비 확대, 생활의 질 증진), 원칙 (수요 전제, 판매 촉진, 수요 창조) 등이 다루어집니다. 생산 활동은 마케팅의 주요 연구 대상이 아닙니다.
-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는 여러 가지 방법을 균형 있게 조정하는 것이며, 4P (제품, 가격, 유통)에 기업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소비자 정보에 생활 스타일 (Life style)이 속합니다. 광고의 시각전달로 인지할 수 없는 것은 제품 가격입니다.
디자인 사조 및 개념
- 바우하우스는 1919년 월터 그로피우스가 설립했으며, 조형교육/기술교육 통합, 공업 시스템/예술가 결합, 기계 허용 등을 시도했으나, 역사주의와 전통적 장식 개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윌터 그로피우스는 창시자입니다.
- 아르누보는 회화, 건축, 공예, 인테리어, 그래픽 등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며, 곡선적이고 생동적이며 여성적인 특징을 가지지만, 대칭이나 기하학적 문양, 대량 생산을 위한 기능성 장식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 미술공예운동은 기계 생산을 반대했고, 현대 디자인의 이념적 배경이 되었으며, 전통적 장식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으나, 미술/공예/공업 통합 및 최고 제품 생산 목표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고 주장한 사람은 루이스 설리반입니다.
-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능주의 모던 디자인에 항거하여 인간의 정서적, 유희적 본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가지며, 멤피스 그룹이 대표적입니다.
- Good Design의 조건으로 합목적성, 심미성, 독창성이 언급되며, 종합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행복을 위한 물질적 생활환경의 개선 및 창조입니다.
기타
- 인간과 도구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연구 대상인 분야는 프로덕트 디자인입니다.
- 4차원의 디자인에 속하는 것은 애니메이션입니다.
색채 및 도법
색의 3 속성 및 체계
- 색의 3 속성은 색상, 명도, 채도이며, 대비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색상(Hue)은 빨강, 파랑 등으로 구별하는 특성입니다.
- 명도(Value/Brightness)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이며, 물체 표면에서 반사되는 주파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 채도(Chroma/Saturation)는 색의 강약, 맑기, 선명도이며, 무채색에 이를수록 낮아집니다. 먼셀 색채계에서는 C로 표시됩니다.
- 무채색에 속하는 것은 어두운 회색이며, 황토색, 연보라, 어두운 회녹색 등은 유채색입니다.
- 먼셀 색채계는 색상, 명도, 채도의 3 속성으로 색을 분류하며, 채도 단계는 수평 방향으로 커집니다. 모든 색상이 동일한 단계 수를 갖지는 않습니다.
- 계통색명은 색의 3 속성에 따라 분류하며, 한국산업표준 일반색명은 ISCC-NBS 색명법을 따릅니다.
색 혼합 및 대비
- 가산 혼합은 색광의 겹침으로 명도가 높아지고, RGB는 빛의 3 원색이며 최대 겹침 시 흰색으로 보입니다.
- 감산 혼합은 물감, 잉크의 혼합으로, 혼합될수록 어두워집니다.
- 중간 혼합에는 병치 혼합과 계시 혼합이 있으며, 인상파 그림, 인쇄 망점 등은 병치 혼합의 예입니다.
- 계시 혼합은 회전 원판을 이용한 색 혼합입니다.
- 색의 대비 현상에는 보색 대비, 색상 대비, 면적 대비, 채도 대비 등이 있으며, 인접 시 색상차가 줄어든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 색의 동화는 명도차가 작고 도형이 작고 촘촘할수록 잘 일어납니다. 색상차가 클수록 잘 일어난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 동시대비는 자극 간 거리 멀수록 약해지며, 시각차 때문이 아닙니다.
색의 지각 및 효과
- 색각은 시세포 기능과 관련되며, 추상체는 색 차이를, 간상체는 어두운 곳을 감지합니다.
- 색각 이상은 시세포 기능 부족으로 생기며, 3색 형부터 1색형까지 나뉩니다.
- 영-헬름홀츠 3 원색설은 적·녹·청 시신경 섬유 이론이며, 가산 혼합과 일치합니다.
- 헤링 4 원색설은 청-황, 적-녹 수용체가 존재한다고 설명합니다.
- 푸르킨예 현상은 박명시 상황에서 빨강보다 파랑이 밝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 색의 진출/후퇴/팽창/수축 현상에서 따뜻하고 밝고 채도가 높은 색이 진출해 보입니다.
- 색의 무게감은 명도와 관련되며, 명도가 낮을수록 무겁게 느껴집니다.
- 주목성은 고명도, 고채도 색에서 높고, 녹색은 빨강보다 낮습니다.
- 색의 잔상은 물체가 사라진 후 남는 영상으로, 빨간 불꽃 잔상은 정의 잔상입니다.
- 안정감 주는 색은 녹색 계열이며, 유사 색조 배색은 평화로움을 줍니다.
도법 (제도)
- 투상도 종류에는 축측 투상도(등각, 부등각)와 사 투상도가 있으며, 등각축 각도는 120°입니다.
- 정투상법 중 제3각법은 물체를 제3 상한에 두는 방식이며, 한국산업표준에 적용됩니다.
- 표고 투상법은 지형 표현에 사용되는 수직 투상입니다.
- 투시도는 평행(1 소점), 유각(2 소점), 사각 등이 있으며, 조감도는 3 소점입니다.
- 제도 선 종류로 중심선, 숨은선, 절단면선, 해칭선 등이 있으며, 우선순위는 외형선 > 숨은선 > 중심선입니다.
- 기본 도법에는 각의 2등분, 타원 그리기(4중 심법, 대소부원법 등)가 포함됩니다.
- 치수는 ㎜ 단위를 생략하며, 각도는 ˚, ′, ″를 사용합니다. 치수선에 평행하게 읽히도록 기입하며 크기를 통일합니다.
- 치수 기호로 반지름은 R, 45˚ 모따기는 C가 사용됩니다.
- 축척자는 도면 축척에 따라 실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디자인 재료
종이 재료
- 종이 제조 공정 중 종이에 내수성을 가지게 하고 잉크 번짐을 막기 위해 아교 물질을 피복시키는 공정은 사이징(Sizing)입니다.
- 종이 가공 방법으로 도피 가공(아트지, 바리 타지), 배접 가공(두꺼운 판지), 흡수 가공, 변성 가공 등이 있습니다.
- 고급 인쇄용 종이는 아트지이며, 한지 분류에 화선지가 포함됩니다.
- 종이의 밀도가 높을수록 기계적 강도가 증가합니다.
- 펄프 종류에는 쇄목펄프(기계), 아황산/소다/크라프트 펄프(화학)가 있습니다.
플라스틱 재료
-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화학 변화로 다시 사용할 수 없으며, 사출 성형 등 연속 가공이 어렵습니다.
- 페놀 수지(베이클라이트)는 열경화성 수지이며, 전기 절연 재료로 사용됩니다.
- 요소 수지는 목재질 재료가 아닌 열경화성 수지입니다.
- 플라스틱은 대량 생산에 가장 많이 쓰이는 유기 재료입니다.
- 사출 성형은 가열된 플라스틱을 금형에 고압으로 충전 후 냉각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 PVDC는 폴리염화비닐리덴수지입니다.
금속 및 무기 재료
- 무기 재료에는 금속, 유리, 도자기가 포함되며, 플라스틱, 피혁, 목재, 종이는 유기 재료입니다.
- 중금속에는 구리, 아연, 텅스텐이 속하며, 알루미늄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식성이 뛰어나며 철강 다음으로 사용량이 많습니다.
- 용융 도금은 저 융점 금속을 녹여 탱크에 침지해 도금층을 입히는 방법입니다.
- 수취법은 유리 소지를 관 끝에 두고 불어 늘려 성형하는 기법입니다.
도료 및 채색 재료
- 도료의 조건은 색상/광택 유지, 변색 없음, 부착성 양호 등이며, 고가일 필요는 없습니다.
- 도료 구성 성분은 안료, 중합체, 첨가제이며, 향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옻은 천연수지 도료이며, 우루시올이 주성분입니다.
- 에멀션 도료는 물을 용제로 사용하는 도료입니다.
- 아크릴 물감은 내수성이 뛰어나며, 수채화 물감은 투명한 효과, 포스터컬러는 은폐력과 무광 효과가 특징입니다.
- 펜톤 컬러 가이드는 미국 색채 연구소 개발의 세계적 컬러 가이드입니다.
- 에어브러시는 공기 압력으로 잉크/물감을 분사하는 기법이며, 사실적 표현에 적합합니다.
기타 재료
- 재료 사이클의 3요소는 물질, 에너지, 환경이며, 기술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목재의 40~50%는 셀룰로오스이며, 전단 강도는 단면에 평행한 저항력입니다.
- 집성재, 단판, 합판은 목재질 재료입니다.
- 연필 심도는 2B → HB → 2H 순으로 단단해집니다.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그래픽스 개론
- 컴퓨터 그래픽스 세대: 제1세대(진공관), 제2세대(트랜지스터), 제3세대(IC), 제4세대(LSI/VLSI). ENIAC은 제1세대 컴퓨터입니다.
- 도입 효과: 다양한 대안 제시, 수정/변형 용이, 정보 축적 및 재이용. 기기 숙련 용이성은 해당되지 않음.
- CAD 장점: 정확하고 신속한 제도, 규격화/데이터 관리 용이, 입력/수정 편리함. 아이디어 제공은 아님.
- CPU는 연산 및 제어를 담당하며, 레지스터는 임시 저장소. ALU는 연산 장치이며 제어 장치와 구분됨.
이미지 종류 및 포맷
- 비트맵: 픽셀 기반, 해상도 영향 큼, 색조 표현 우수, 압축 가능.
- 벡터: 해상도 손상 없음. Illustrator, Corel Draw, Auto CAD는 벡터 기반, Photoshop은 비트맵 기반.
- EPS는 고품질 인쇄에 적합. 캘리브레이션은 화면과 출력물 색 차이 최소화.
- JPEG: 높은 압축률. PNG: 알파 채널 지원. GIF: 256색, 투명 지원. GIF는 사진 이미지 압축에 부적합.
- AI는 비트맵 포맷이 아님. PSD는 레이어 및 알파 채널 저장 가능.
모델링 및 렌더링
- 3D 모델링: 와이어프레임, 서페이스, 솔리드. 목업은 해당 없음.
- 솔리드 모델은 내부 포함, 도면 제작과 연계.
- Geometric primitive: Torus, Cone, Cylinder. Boolean은 연산 방식.
- 스키닝: 단면 형상에 막 입히기. 스위핑: 경로 따라 형상 이동.
- 렌더링은 실감 나는 재질감, 색상 표현.
- Transparency는 투명도 조절. Phong 셰이딩은 Gouraud보다 화질 우수.
- 매핑(Mapping): 2D 이미지를 3D 표면에 적용.
- 시뮬레이션(Simulation): 실제/가상 시스템을 컴퓨터로 모사.
소프트웨어 및 기능
- GUI: 아이콘/메뉴 기반. CLI: 텍스트 기반.
- Photoshop 크기 조절: 이미지 크기 변경, 캔버스 변경, Crop 툴.
- Magic Wand는 선택 도구. Undo는 실행 취소. Invert는 보색 반전.
- CMYK 모드에서 Lighting Effects는 비활성화됨.
- Path는 글자 배치, 이미지 따내기 등에 사용됨. 사각형 선택은 해당되지 않음.
- 전자 출판 도구: InDesign.
입출력 장치 및 기술
- 입력: 마우스, 스캐너, 태블릿. 출력: 플로터, 필름 레코더, 프린터.
- 스캐너 해상도는 X/Y 좌표. 드럼 스캐너는 원색 분해에 사용.
- 필름 레코더: 화면 이미지를 슬라이드 필름으로 출력.
- 디지털화: 디지털카메라, 스캐너, 모션 캡처. 필름 레코더는 디지털 → 아날로그.
- 스풀: 입출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CPU 처리 지연 방지.
- 안티앨리어싱: 저해상도 곡선 계단 현상 완화 기법.
픽셀 및 색상 모드
- 픽셀: 화면의 최소 단위. 커서와는 다른 개념.
- 8비트 = 256색, 24비트 = 트루컬러(1680만 색).
- 인덱스 모드: 파일 크기 감소, 256색 제한. 색상 매칭으로 표현.
- BMP는 인터넷 전송에 적합하지 않음.
- RGB는 빛의 3 원색. 가산 혼합(밝아짐), 감산 혼합은 아님.
애니메이션
- 프레임(Frame)은 영상의 기본 단위.
- 2D 기법: 셀 애니메이션, 인비트윈, 트위닝, 로토스코핑. 트레이싱 라인은 해당되지 않음.
- 셀 애니메이션은 배경 위 셀로판 필름을 중첩하여 제작.
실기시험 요령
1. 시험 전반 및 요구사항 숙지
- 디자인원고(그림, 사진, 문자, 색채, 레이아웃, 규격 등)와 동일하게 작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불명확한 부분은 완성도면을 참조합니다.
- A4 용지 중앙에 작품이 배치되도록 하며, 디자인원고를 기준으로 규격을 확인합니다.
- 상하 좌우 3㎜ 재단여유를 두고, 재단선은 용도에 맞게 표시합니다.
- 비번호는 디자인원고 좌측 하단에서 3㎜ 떨어진 위치에 고딕 10pt로 기입합니다.
- 모든 작업은 바탕화면 폴더에 저장하며, 제공된 자료 내에서만 활용 가능합니다.
- 장시간 작업 전 스트레칭 등으로 몸을 풀고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 3개의 2D 응용프로그램을 고르게 활용해야 합니다.
- 최종 작업 및 출력은 반드시 편집 프로그램(QuarkXPress, InDesign)에서 진행해야 하며, 다른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파일은 출력 불가로 실격됩니다.
- 여러 프로그램에서 작업한 요소들을 편집 프로그램으로 불러와 배치 및 마무리 연습이 필요합니다.
- 응용프로그램 및 편집 프로그램 사용 능력은 주요 채점 항목입니다.
3. 파일 관리 및 제출
- 작업 파일은 바탕화면에 생성한 폴더에 주기적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 최종 제출 시, 출력과 관련된 파일만 15MB 이내로 비번호 폴더에 저장합니다. 초과 시 실격 처리됩니다.
- 해상도와 포맷을 용량 내에 맞게 조절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파일 전송 시점까지가 시험 시간이며, 전송 이후에는 재작업 불가입니다.
4. 출력 및 마운팅
- 출력물(A4)은 절취 불가이며, 반드시 A3 용지 중앙에 마운팅 하여 제출합니다.
- A3 용지 좌측 상단 표제란에 인적 사항 기재 후, A4 작품은 중앙에 부착합니다.
- 작품 경계선에 감독위원의 확인 날인을 받아야 하며, 마운팅 시간은 5분 이내입니다.
- 출력은 수험자가 1회 실시하며, 문제 발생 시 감독위원 확인 후 재출력 가능. 잘못된 출력물도 함께 제출합니다.
- 지급 재료: A3 복사용지 1장, A4 프린터 용지 2장.
- 작업 완료 후, A3 마운팅 한 결과 외 모든 자료는 삭제해야 합니다.
5. 채점 및 실격 기준
- 주요 채점 항목:
- 응용프로그램 및 편집 프로그램 사용 능력
- 색채 및 그림 요소 표현
- 문자 및 그림 요소의 정확한 레이아웃
- 타이포그래피 정확도(서체, 크기, 자간/행간, 오타 등)
- 원고 규격, 재단선, 배치 정확도
- 실격 기준:
- 파일 용량 15MB 초과
- 요구사항과 현저히 다름
- 제한 시간 초과 또는 미완성
- 과제 20% 미만 완성
- 편집 프로그램 미사용 또는 출력 실패
- 부정행위(동일 작품 제출 등) 적발 시
6. 준비물 확인
- 지참물: 수험표, 신분증, 연필, 사인펜, 눈금자(30㎝), 가위, 양면테이프
- 반입 금지: 참고자료, 저장매체, 휴대폰(전원 off), 펜마우스, 태블릿 등 입력장치
맺음말
컴퓨터그래픽기능사는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싶거나 디자인 관련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적합한 자격증입니다.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필기와 실기 모두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여러분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자격증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시험일정 합격률 기출문제 분석 실기시험 대비요령 (8) | 2025.05.24 |
---|---|
2025년 설비보전산업기사(기계정비산업기사) 시험일정 합격률 필기시험분석 (4) | 2025.05.23 |
영상정보관리사 시험과목 시험일정 기출문제분석 (5) | 2025.05.12 |
2025 조경기능사 시험일정 합격률 필기 기출문제 분석 실기대비 요령 (3) | 2025.05.11 |
AICE자격증 시험일정 (19) | 2025.04.29 |
댓글